사진을 클릭하여 크게 보세요.
고 향
- 현진건 -
대구에서 서울로 올라오는 차중에서 생긴 일이다.
나는 나와 마주앉은 그를 매우 흥미있게 바라보고 또 바라보았다.
두루마기격으로 기모노를 둘렀고, 그 안에서 옥양목 저고리가 내어 보이며,
아랫도리엔 중국식 바지를 입었다.
그것은 그네들이 흔히 입는 유지 모양으로 번질번질한 암갈색 피륙으로
지은 것이었다. 그리고 발은 감발을 하였는데 짚신을 신었고,
고부가리로 깎은 머리엔 모자도 쓰지 않았다.
우연히 이따금 기묘한 모임을 꾸미는 것이다.
우리가 자리를 잡은 찻간에는 공교롭게 세 나라 사람이 다 모였으니,
내 옆에는 중국 사람이 기대었다. 그의 옆에는 일본 사람이 앉아 있었다.
그는 동양 삼국 옷을 한 몸에 감은 보람이 있어 일본 말로 곧잘
철철대이거니와 중국 말에도 그리 서툴지 않은 모양이었다.
“도꼬마데 오이데 데수까(어디까지 가십니까)”
하고 첫마디를 걸더니만 동경이 어떠니 대판이 어떠니
조선 사람은 고추를 끔찍이 많이 먹는다는 둥 일본 음식은 너무 싱거워서
처음에는 속이 뉘엿거린다는 둥 횡설수설 지껄이다가
일본 사람이 엄지와 곤지 손가락으로 짜르게 끊은 꼿꼿한 윗수염을 비비면서
마지못해 깟댁깟댁하는 고개와 함께
“소오데수까(그렇습니까)”란 한마디로 코대답을 할 따름이요,
잘 받아 주지 않으매 그는 또 중국인을 붙들고서 실랑이를 한다.
“니쌍나올취―” “니씽섬마” 하고 덤벼 보았으나
중국인 또한 그 기름 낀 뚜우한 얼굴에 수수께끼 같은 웃음을 띄울 뿐이요
별로 대꾸를 하지 않았건만,
그래도 무에라도 연해 웅얼거리면서 나를 보고 웃어 보였다.
그것은 마치 짐승을 놀리는 요술쟁이가 구경꾼을 바라볼 때처럼
훌륭한 제 재주를 갈채해 달라는 웃음이었다.
나는 쌀쌀하게 그의 시선을 피해 버렸다. 그 주적대는 꼴이 어쭙지않고
밉살스러웠다. 그는 잠깐 입을 닫치고 무료한 듯이 머리를
덕억덕억 긁기도 하며 손톱을 이로 물어뜯기도 하고 멀거니
창 밖을 내다보기도 하다가, 암만해도 지절대지 않고는 못 참겠던지
문득 나에게로 향하며
“어디꺼정 가는 기오”라고 경상도 사투리로 말을 붙인다.
“서울까지 가오.”
“그런기오. 참 반갑구마. 나도 서울꺼정 가는데.
그러면 우리 동행이 되겠구마.”
나는 이 지나치게 반가워하는 말씨에 대하여 무어라고 대답할 말도 없고
또 굳이 대답하기도 싫기에 덤덤히 입을 닫쳐 버렸다.
“서울에 오래 살았는기오?”
그는 또 물었다.
“육칠 년이나 됩니다.”
조금 성가시다 싶었으되 대꾸 않을 수도 없었다.
“에이구, 오래 살았구마. 나는 처음 길인데 우리 같은 막벌이꾼이
차를 내려서 어디로 찾아가야 되겠는기오? 일본으로 말하면
‘기진야도’ 같은 것이 있는기오.”
하고 그는 답답한 제 신세를 생각했던지 찡그려 보였다.
그때 나는 그의 얼굴이 웃기보다 찡그리기에 가장 적당한 얼굴임을
발견하였다. 군데군데 찢어진 겅성드뭇한 눈썹이 올올이 일어서며
아래로 축 처지는 서슬에 양미간에는 여러 가닥 주름이 잡히고
광대뼈 위로 뺨살이 실룩실룩 보이자 두 볼은 쪽 빨아든다.
입은 소태나 먹은 것처럼 왼편으로 삐뚤어지게 찢어 올라가고
조이던 눈엔 눈물이 괸 듯, 삼십 세밖에 안 되어 보이는 그 얼굴이
십 년 가량은 늙어진 듯하였다. 나는 그 신산스러운 표정에
얼마쯤 감동이 되어서 그에게 대한 반감이 풀려지는 듯하였다.
“글쎄요, 아마 노동 숙박소란 것이 있지요.”
노동 숙박소에 대해서 미주알고주알 묻고 나서,
“시방 가면 무슨 일자리를 구하겠는기요.”
라고 그는 매달리는 듯이 또 재우쳤다.
“글쎄요, 무슨 일자리를 구할 수 있을는지요.”
나는 내 대답이 너무 냉랭하고 불친절한 것이 죄송스러웠다.
그러나 일자리에 대하여 아무 지식이 없는 나로서는 이 외에 더 좋은 대답을
해줄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 대신 나는 은근하게 물었다.
“어디서 오시는 길입니까.”
“흥, 고향에서 오누마.”
하고 그는 휘 한숨을 쉬었다.
그러자 그의 신세타령의 실마리는 풀려 나왔다.
그의 고향은 대구에서 멀지 않은 K군 H란 외딴 동리였다.
한 백 호 남짓한 그곳 주민은 전부가 역둔토를 파먹고 살았는데
역둔토로 말하면 사삿집(명사 개인이 살림하는 집) 땅을 붙이는 것보다
떨어지는 것이 후하였다.
그러므로 넉넉지는 못할망정 평화로운 농촌으로 남부럽지 않게 지낼 수
있었다. 그러나 세상이 뒤바뀌자 그 땅은 전부가 동양척식회사의 소유에
들어가고 말았다. 직접으로 회사에 소작료를 바치게나 되었으면
그래도 나으련만 소위 중간 소작인이란 것이 생겨나서
저는 손에 흙 한 번 만져 보지도 않고 동척엔 소작인 노릇을 하며
실작인에게는 지주 행세를 하게 되었다.
동척에 소작료를 물고 나서 또 중간 소작인에게 긁히고 보니
실작인의 손에는 소출의 삼 할도 떨어지지 않았다.
그 후로 ‘죽겠다’, ‘못 살겠다’ 하는 소리는 중이 염불하듯
그들의 입길에서 오르내리게 되었다.
남부여대 (명사 남자는 지고 여자는 인다는 뜻으로,가난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하고
타처로 유리하는 사람만 늘고 동리는 점점 쇠진해 갔다.
지금으로부터 구 년 전 그가 열일곱 살 되던 해 봄에(그의 나이는 실상
스물여섯이었다. 가난과 고생이 얼마나 사람을 늙히는가) 그의 집안은
살기 좋다는 바람에 서간도로 이사를 갔었다.
쫓겨 가는 운명이거든 어디를 간들 신신하랴.
그곳의 비옥한 전야도 그들을 위하여 열려질 리 없었다.
조금 좋은 땅은 먼저 간 이가 모조리 차지를 하였고 황무지는 비록
많다 하나 그곳 당도하던 날부터 아침거리 저녁거리 걱정이라 무슨 행세로
적어도 일년이란 장구한 세월을 먹고 입어 가며 거친 땅을 풀 수가 있으랴.
남의 밑천을 얻어서 농사를 짓고 보니 가을이 되어 얻는 것은
빈주먹뿐이었다. 이태 동안을 사는 것이 아니라 억지로 버티어 갈 제
그의 아버지는 우연히 병을 얻어 타국의 외로운 혼이 되고 말았다.
열아홉 살밖에 안 된 그가 홀어머니를 모시고 악으로 악으로 모진 목숨을
이어 가는 중 사 년이 못 되어 영양 부족한 몸이 심한 노동에 지친 탓으로
그의 어머니 또한 죽고 말았다.
“모친꺼정 돌아갔구마”
“돌아가실 때 흰 죽 한 모금 못 자셨구마”
하고 이야기하던 이는 문득 말을 뚝 끊는다.
그의 눈이 번들번들함은 눈물이 쏟아졌음이리라.
나는 무엇이라고 위로할 말을 몰랐다. 한동안 머뭇머뭇이 있다가
나는 차를 탈 때에 친구들이 사준 정종병 마개를 빼었다.
찻잔에 부어서 그도 마시고 나도 마셨다.
악착한 운명이 던져 준 깊은 슬픔을 술로 녹이려는 듯이
연거푸 다섯 잔을 마신 그는 다시 말을 계속하였다.
그 후 그는 부모 잃은 땅에 오래 머물기 싫었다.
신의주로 안동현으로 품을 팔다가 일본으로 또 벌이를 찾아가게 되었다.
구주 탄광에 있어도 보고 대판 철공장에도 몸을 담아 보았다.
벌이는 조금 나았으나 외롭고 젊은 몸은 자연히 방탕해졌다.
돈을 모으려야 모을 수 없고 이따금 울화만 치받치기 때문에
한곳에 주접을 하고 있을 수 없었다.
화도 나고 고국 산천이 그립기도 하여서 훌쩍 뛰어나왔다가 오래간만에
고향을 둘러보고 벌이를 구할 겸 서울로 올라가는 길이라 한다.
“고향에 가시니 반가워하는 사람이 있습디까?”
나는 탄식하였다.
“반가워하는 사람이 다 뭐기오, 고향이 통 없어졌더마.”
“그렇겠지요. 구 년 동안이면 퍽 변했겠지요.”
“변하고 뭐고 간에 아무것도 없더마. 집도 없고 사람도 없고
개 한 마리도 얼씬을 않더마.”
“그러면 아주 폐농이 되었단 말씀이오.”
“흥, 그렇구마. 무너지다가 담만 즐비하게 남았즈마.
우리 살던 집도 터야 안 남았겠는기오.”
하고 그의 짜는 듯한 목은 높아졌다.
“썩어 넘어진 서까래, 뚤뚤 구르는 주추는! 꼭 무덤을 파서
해골을 헐어 젖혀 놓은 것 같더마. 세상에 이런 일도 있는기오?
백여 호 살던 동리가 십 년이 못 되어 통 없어지는 수도 있는기오, 후!”
하고 그는 한숨을 쉬며 그때의 광경을 눈앞에 그리는 듯이
멀거니 먼 산을 보다가 내가 따라 준 술을 꿀꺽 들이켜고,
“참! 가슴이 터지드마, 가슴이 터져.”
하자마자 굵직한 눈물 둬 방울이 뚝뚝 떨어진다.
나는 그 눈물 가운데 음산하고 비참한 조선의 얼굴을 똑똑히 본 듯싶었다.
이윽고 나는 이런 말을 물었다.
“그래, 이번 길에 고향 사람은 하나도 못 만났습니까.”
“하나 만났구마, 단지 하나.”
“친척 되시는 분이던가요.”
“아니구마, 한이웃에 살던 사람이구마.”
하고 그의 얼굴은 더욱 침울해진다.
“여간 반갑지 않으셨겠지요.”
“반갑다마다, 죽은 사람을 만난 것 같더마.
더구나 그 사람은 나와 까닭도 좀 있던 사람인데…….”
“까닭이라니?”
“나와 혼인말이 있던 여자구마.”
“하―!”
나는 놀란 듯이 벌린 입이 닫혀지지 않았다.
“그 신세도 내 신세만이나 하구마.”
하고 그는 또 이야기를 계속하였다.
그 여자는 자기보다 나이 두 살 위였는데 한이웃에 사는 탓으로
같이 놀기도 하고 싸우기도 하며 자라났었다.
그가 열네 살 적부터 그들 부모 사이에 혼인말이 있었고 그도 어린 마음에
매우 탐탁하게 생각하였었다.
그런데 그 처녀가 열일곱 살 된 겨울에 별안간 간 곳을 모르게 되었다.
알고 보니 그 아비 되는 자가 이십 원을 받고 대구 유곽에
팔아먹은 것이었다.
그 소문이 퍼지자 그 처녀 가족은 그 동리에서 못 살고
멀리 이사를 갔는데 그 후로는 물론 피차에 한 번 만나 보지도 못하였다.
이번에야 빈터만 남은 고향을 구경하고 돌아오는 길에 읍내에서
그 아내 될 뻔한 댁과 마주치게 되었다. 처녀는 어떤 일본 사람 집에서
아이를 보고 있었다. 궐녀는 이십 원 몸값을 십 년을 두고 갚았건만
그래도 주인에게 빚이 육십 원이나 남았었는데 몸에 몹쓸 병이 들고
나이 늙어져서 산송장이 되니까 주인 되는 자가 특별히 빚을 탕감해 주고
작년 가을에야 놓아 준 것이었다. 궐녀도 자기와 같이 십 년 동안이나
그리던 고향에 찾아오니까 거기에는 집도 없고 부모도 없고
쓸쓸한 돌무더기만 눈물을 자아낼 뿐이었다.
하루 해를 울어 보내고 읍내로 들어와서 돌아다니다가 십 년 동안에
한 마디 두 마디 배워 두었던 일본 말 덕택으로
그 일본 집에 있게 되었던 것이었다.
“암만 사람이 변하기로 어째 그렇게도 변하는기오?
그 숱 많던 머리가 훌렁 다 벗어졌더마. 눈은 푹 들어가고
그 이들이들하던 얼굴빛도 마치 유산을 끼얹은 듯하더마.”
“서로 붙잡고 많이 우셨겠지요.”
“눈물도 안 나오드마.
일본 우동집에 들어가서 둘이서 정종만 열 병 따라 뉘고 헤어졌구마.”
하고 가슴을 짜는 듯이 괴로운 한숨을 쉬더니만 그는 지낸 슬픔을
새록새록이 자아내어 마음을 새기기에 지쳤음이더라.
“이야기를 다 하면 무얼 하는기오.”
하고 쓸쓸하게 입을 다문다.
내 또한 너무도 참혹한 사람살이를 듣기에 쓴물이 났다.
“자, 우리 술이나 마저 먹읍시다.”
하고 우리는 서로 주거니 받거니 한 되 병을 다 말리고 말았다.
그는 취흥에 겨워서 우리가 어릴 때 멋모르고 부르던 노래를 읊조렸다.
볏섬이나 나는 전토는
신작로가 되고요――
말마디나 하는 친구는
감옥소로 가고요――
담뱃대나 떠는 노인은
공동묘지 가고요――
인물이나 좋은 계집은
유곽으로 가고요――
(『조선의 얼굴』, 글벗집, 1926년 1월 현진건)
'한국단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B녀의 소묘(素描)- 이무영 - (1) | 2023.10.25 |
---|---|
그 여자네 집 - 박완서 - (0) | 2023.10.16 |
돌다리 - 이태준 - (3) | 2023.09.26 |
금 따는 콩밭 - 김유정 - (4) | 2023.09.15 |
광화사(狂畵師) - 김동인 - (0) | 2023.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