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 5

별 - 황순원 -

별                                                                            - 황순원 - 동네 애들과 노는 아이를 한 동네 과수 노파가 보고, 같이 저자에라도 다녀오는 듯한 젊은 여인에게 무심코, 쟈 동복 뉘가 꼭 죽은 쟈 오마니 닮았디 왜, 한 말을 얼김에 듣자, 아이는 동무들과 놀던 것도 잊어버리고 일어섰다. 아이는 얼핏 누이의 얼굴을 생각해내려 하였으나, 암만 해도 떠오르지 안았다.  집으로 뛰면서 아이는 저도 모르게, 오마니 오마니 수없이 외었다. 집 뜰에서 이복 동생을 업고 있는 누이를 발견하고 달려가 얼굴부터 들여다 보았다. 너무나 엷은 입술이 지나치게 큰 데 비겨 눈은 짭짭하니 작고, 그 눈이 또 늘 몽롱이 흐려 있는 누이의 얼굴..

한국단편문학 2024.07.31

타인의 방 - 최인호 -

사진을 클릭해서 크고 선명하게 보세요.                                      타인(他人)의 방(房)                                                                            최인호(崔仁浩) 그는 방금 거리에서 돌아왔다. 너무 피로해서 쓰러져 버릴 것 같았다. 그는 아파트 계단을 천천히 올라서 자기 방까지 왔다. 그는 운수 좋게도 방까지 오는 동안 아무도 만나지 못했었고 아파트 복도에도 사람은 없었다. 어디선가 시금치 끓이는 냄새가 나고 있었다. 그는 방문을 더듬어 문 앞에 프레스라고 쓰인 신문 투입구 안쪽의 초인종을 가볍게 두어 번 눌렀다. 그리고 이미 갈라진 혓바닥에 아린 감각만을 주어 오던 담배꽁초를 잘 닦아 반..

한국단편문학 2024.07.23

모범경작생- 박영준 -

모범경작생                                                    - 박영준 -  "얘--- 나 한 마디 하마."    "얘--- 얘 기억(記憶)이 보구 한 마디 하래라.     아까부터 하겠다구 그러던데---."    "기억이 성내겠다. 자--- 한 마디 해 보게."   한참 소리를 하는데 이런 말이 나와 일하던 손들이 쥐었던 벼 포기를 놓았고, 모든 눈이 기억의 얼굴로 모이었다. 목청이 남보다 곱지 못하다고 해서 한 차례도 소리를 시키지 않은 것이 화가 났던지 기억이는 권하는 기회를 놓치지 않고, 있는 목소리를 다 빼어 소리를 꺼냈다.     온갖 물은 흘러 나려두  오장 썩은 물 솟아만 오른다.   같은 논에서 일하던 사람들은 기억의 미나리곡에 합세하여 다시 노래..

한국단편문학 2024.07.16

모래톱이야기- 김정한 -

모래톱이야기                                                                            - 김정한 -  이십 년이 넘도록 내처 붓을 꺾어 오던 내가 새삼 이런 글을 끼적거리게 된 건 별안간 무슨 기발한 생각이 떠올라서가 아니다. 오랫동안 교원 노릇을 해 오던 탓으로 우연히 알게 된 한 소년과, 그의 젊은 홀어머니, 할아버지, 그리고 그들이 살아오던 낙동강 하류의 어떤 외진 모래톱―이들에 관한 그 기막힌 사연들조차, 마치 지나가는 남의 땅 이야기나, 아득한 옛날 이야기처럼 세상에서 버려져 있는 데 대해서까지는 차마 묵묵할 도리가 없었기 때문이다.   건우란 소년은 내가 직접 담임했던 제자다. 당시 나는 K라는 소위 일류 중학에서 교편을 잡고 있었다..

한국단편문학 2024.07.09

가마귀 -이태준-

까마귀                                                                          - 이 태 준 -  "호―" 새로 사온 것이라 등피에서는 아직 석유내도 나지 않는다. 닦을 것도 별로 없지만 전에 하던 버릇으로 그렇게 입김부터 불어 가지고 어스레해진 하늘에 비춰 보았다. 등피는 과민하게도 대뜸 뽀―얗게 흐려지고 만다.    "날이 꽤 차졌군……."   그는 등피를 닦으면서 아직 눈에 익지 않은 정원을 둘러보았다. 이끼 앉은 돌층계 밑에는 발이 묻히게 낙엽이 쌓여 있고 상나무, 전나무 같은 상록수를 빼어놓고는 단풍나무까지 이미 반나마 이울어 어떤 나무는 잎이라고 하나도 없이 설―멍하게 서 있다.    '무장해제를 당한 포로들처럼' 하는 생각을 하면서 ..

한국단편문학 2024.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