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괜찮아
- 장영희 -
초등학교 때 우리 집은 제기동에 있는 작은 한옥이었다.
골목 안에는 고만고만한 한옥 네 채가 서로 마주 보고 있었다.
그때만 해도 한 집에아이가 네댓은 되었으므로,
그 골목길만 초등학교 아이들이 줄잡아 열명이 넘었다.
학교가 파할 때쯤 되면 골목 안은 시끌벅적한,
아이들의 놀이터가 되었다.
어머니는 내가 집에서 책만 읽는 것을 싫어 하셨다.
그래서 방과 후 골목길에 아이들이 모일 때쯤이면
어머니는 대문 앞 계단에 작은 방석을 깔고 나를 거기에 앉혀 주셨다.
아이들이 노는 것을 구경이라도 하라는 뜻이었다.
딱히 놀이 기구가 없던 그때,
친구들은 대부분 술래잡기, 사방치기, 공기놀이,
고무줄넘기 등을 하고 놀았지만,
다리가 불편한 나는 공기놀이 외에는 어떤 놀이에도 참여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골목 안 친구들은 나를 위해 꼭 무언가 역할을 만들어 주었다.
고무줄넘기나 달리기를 하면 내게 심판을 시키거나,
신발주머니와 책가방을 맡겼다.
이뿐인가? 술래잡기를 할 때는 한곳에 앉아 있는 내가 답답할까 봐
미리 내게 어디에 숨을 지를 말해주고 숨는 친구도 있었다.
우리 집은 골목 안에서 중앙이 아니라 구석 쪽이었지만,
내가 앉아 있는 계단 앞이 친구들의 놀이 무대였다.
놀이에 참여하지 못해도 나는 전혀 소외감이나 박탈감을 느끼지 않았다.
아니, 지금 생각하면,
내가 소외감을 느낄까 봐 친구들이 배려해 준 것이었다.
그 골목길에서 있었던 일이다.
초등학교 1학년 때였던 것 같다.
하루는 우리반이 좀 일찍 끝나서 혼자 집 앞에 앉아 있었다.
그런데 그때 마침 깨엿장수가 골목길을 지나고 있었다.
그 아저씨는 가위만 쩔렁이며 내 앞을 지나더니,
다시 돌아와 내게 깨엿 두개를 내밀었다.
순간, 그 아저씨와 내 눈이 마주쳤다.
아저씨는 아주 잠깐 미소를 지어 보이며 말했다.
"괜찮아."
무었이 괜찮다는 것인지는 몰랐다.
돈 없이 깨엿을 공짜로 받아도 괜찮다는 것인지,
아니면 목발을 짚고 살아도 괜찮다는 것인지...... ,
하지만 그건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건 내가 그날 마음을 정했다는 것이다.
이 세상은 그런 대로 살 만한 곳이고,
좋은 사람들이 있고,
선의와 사랑이 있고,
"괜찮아,"라는 말처럼 용서와 너그러움이 있는 곳이라고
믿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참으로신기하게도,
힘들어서 주저앉고 싶을 때마다
난 내 마음속에서 작은 속삭임을 듣는다.
오래전, 따듯한 추억 속의 골목길 안에서 들은 말. "괜찮아!"
아, 그래서 그 후로 나에게 "괜찮아."는
이제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희망의 말이 되었다.
= = = = = = = = = = * * * = = = = = = = = =
내가 살아보니까
내가 살아보니까
사람들은 남의 삶에 그다지 관심이 많지 않다
그래서 남을 쳐다볼 때는 부러워서든, 불쌍해서든
그저 호기심이나 구경 차원을 넘지 않더라
내가 살아보니까
정말이지 명품 핸드백을 들고 다니든,
비닐봉지를 들고 다니든
중요한 것은 그 내용물이더라
내가 살아 보니까
남들의 기준에 따라 내 목표를 세우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고,
나를 남과 비교하는 것이 얼마나 시간 낭비고,
그렇게 함으로써 내 가치를 깎아내리는
바보 같은 짓인 줄 알겠더라
내가 살아보니까
결국 중요한 것은 껍데기가 아니고 알맹이더라
겉모습이 아니라 마음이더라
예쁘고 잘생긴 사람은 TV에서 보거나
거리에서 구경하면 되고
내 실속 차리는 것이 더 중요하더라
재미있게 공부해서 실력 쌓고
진지하게 놀아서 경험 쌓고
진정으로 남에 대해 덕을 쌓는 것이
결국 내 실속이더라
내가 살아보니까
내가 주는 친절과 사랑은 밑지는 적이 없더라
소중한 사람을 만나는 것은 한 시간이 걸리고
그를 사랑하게 되는 것은 하루가 걸리지만
그를 잊어버리는 것은 일생이 걸린다는 말이더라
내가 살아보니까
남의 마음속에 좋은 추억으로 남는 것만큼
보장된 투자는 없더라
< 장영희 교수의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 중에서 >
'한국단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장난 문 - 이범선 - (2) | 2025.03.23 |
---|---|
소금 - 강경애 - (1) | 2025.03.18 |
난중일기 7 중 7 - 忠武公 이순신 - (1) | 2025.03.10 |
난중일기 7 중 6 - 忠武公 이순신 - (0) | 2025.03.06 |
난중일기 7 중 5 - 忠武公 이순신 - (0)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