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단편문학

돌의 미학(수필) - 조지훈 -

하얀모자 1 2025. 4. 17. 03:04

 

           돌의 미학(수필)
                                               - 조지훈 - 


돌의 맛ㅡ 그것도 낙목한천(落木寒天)22)의 이끼 마른 수석(瘦石)1)의
묘경을 모르고서는 동양의 진수를 얻었다 할 수가 없다.
옛사람들의 마당 귀에 작은 바위를 옮겨다 놓고
물을 주어 이끼를 앉히는 거라든가,
흰 화선지 위에 붓을 들어 아주 생략되고 추상된 기골이 늠연한
한 덩어리의 물체를 그려 놓고
이름하여 석수도(石壽圖)라고 바라보고 좋아하던 일을 생각하면
가슴이 흐뭇해진다.
무미한 속에서 최상의 미(味)를 맛보고,
적연부동(寂然不動)한 가운데서 뇌성벽력을 듣기도 하고,
눈 감고 줄 없는 거문고를 타는 마음이 모두
이 돌의 미학에 통해 있기 때문이다.
 
동양화, 더구나 수묵화의 정신은 애초에 사실이 아니었다.
파초 잎새 위에 백설을 듬뿍 실어 놓기도 하고,
10리 둘레의 산수 풍경을 작은 화폭에다 거두기도 하고,
소쇄(瀟灑)2)한 산봉우리 밑,
물을 따라 감도는 오솔길에다 나무꾼이나 산승이나 은자를 그리되,
개미 한 마리만큼 작게 그려 놓고 미소하는 그 화경(畵境)은
사실이기보다는 꿈을 그린 것이었다.
이 정신이 사군자, 석수도, 서예로 추상의 길이 달린 것이 아니던가?
 
괴석이나 마른 뿌리는 요즘의 추상파 화가들의
훌륭한 오브제가 되는 모양이다.
추상의 길을 통하여 동양화와 서양화가 융합의 손길을 잡는 것은
본질적으로 당연한 추세라 할 수 있다.
'살아 있다' 는 한 마디는 동양미의 가치 기준이 되거니와,
생명감의 무한한 파동이 바위보다 더한 것이 없다면 웃을는지 모른다.
그러나 돌의 미는 영원한 생명의 미이다. 바로 그것이 추상이다.
​ 
내가 돌의 미를 처음 맛본 것은
차를 마시다가 우연히 바라본 그 바위에서부터였다.
선사(禪寺)의 다실에 앉아 내다본 정원의 돌이었다.
나의 20대의 일이다.
나는 한때 일본 교토(京都) 의 묘심사(妙心寺)에서
선(禪)에 든 적이 있었다.
1,700측(則) 공안(公案)3)을 차례로 깨쳐 간다는
지극히 형식화된 일본선은 가소로웠지만,
선의 현대화를 위해선 새로운 묘미가 아주 없는 것도 아니었다.
특히 흥미로웠던 것은 사뭇 유도처럼 메다꽂기도 하고,
공부가 모자라 벌을 설 때는 한겨울이라도 마당에 앉혀 놓고
밤을 새워 좌선을 강행시키는 그 수련에서
준열한 임제종(臨濟宗)4) 풍(風)의 살활검(殺活劍)의 고조를
볼 수 있던 일이다.
 
그러나 얼마 가지 않아 나는 이 선의 수행에서 싫증이 났었다.
그래서 틈만 있으면
다실에 가서 다도를 즐기며 정원을 내다보는 것이 낙이 되었다.
일본의 정원 미술은 다실과 떠나서 생각할 수 없고,
다도는 선과 떼어서 생각할 수가 없는 것은 다 아는 사실이다.
묘심사에는 다도의 종장(宗匠)5) 한 분이 있었다.
나는 가끔 이 노화상과 대좌하여 다도를 즐기며
화경청적(和敬淸寂)의 맛을 배우곤 하였다.
녹차를 찻종에 넣는 작은 나무국자를 찾종 전에다 땅땅땅 두드리는 것은
벌목정정(伐木丁丁)6)의 운치요,
찻주전자를 높이 들고 소리 높여 물을 따르는 것은
바로 산골의 폭포 소리를 가져오는 것이라 한다.
일본 예술의 인공성ㅡ 그 자연을 비틀어 먹는 천박한 상징의 바탕이
여기 있구나 싶어서, 나는 미소를 머금기도 했다.
어쨌든, 나는 빈객으로서 다완(茶椀)을 받아
좌우의 사람에게 인사하는 법에서부터 잔을 들고 마시는 법,
나중에 골동으로서의 다완을 감상하며 주인을 추어 주는 법을 배웠다ㅡ
다완이 고려 자기인 경우에는 주인의 어깨가 으쓱해진다.
이 사장(師匠)이 시키는 대로 차를 권하는 주인으로서의 예의 작법을
시험해 보기도 하였다.
​ 
그것뿐이다. 나는 그 다도에도 흥미가 없었고,
그 뒤에 이 다도를 스스로 행해 본 적도 없다.
그러면서도 내가 이 다실에 자주 놀러간 것은 사장과 더불어
파한(破閑)7)으로 농담의 선문답을 하는 재미에서였다.
실상은 그것보다도 다실의 정적미에 매료되었다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아담한 정원을 앞에 놓은 지극히 소박하고 단순한 이 다실은
무척 맑고 따뜻하였다.
미닫이〔障子〕는 젊은 중들이 길거리에서 주워 온 종이를 표백하여
곱게 바른 것이어서 더욱 운치가 있었다.
나중에는 이 다실에 사장과 대좌해도
피차 무언의 행을 하는 사이가 되었다.
이럴 때 항상 내 눈을 빼앗아 가는 것은
정원 가장귀에 놓인 작은 바위기가 일쑤였다.
나의 선은 이 이끼 앉은 바위를 바라보며 시를, 민족을,
죽음을 화두로 삼고 있었다.
바위는 그 어떠한 문제에도 계시를 주는 성싶었다.
잔디 속에 묻혀 있는 불규칙한 징검돌〔飛石〕은
사념의 촉수를 어느 방향으로든 끌고 비약하였다.
이리하여, 나는 선도 다도 아닌 돌의 미학을 자득하여 가지고
이 이방의 절을 떠났던 것이다.
떠나던 전날 사장은 7, 8명의 귀족 영양(令孃)을 불러 다회를 열고
젊은 방랑객을 전별하였다.
 
그것도 이른바 인연인지 모른다.
그 1년 뒤 나는 오대산 월정사에 있는 불교 전문 강원에서
교편을 잡게 되었고,
거기서 나는 우리의 선과 우리의 돌의 진미를 맛보게 되었다.
내가 머물고 있던 월정사의 동향한 1실은 창만 열면 산이요 숲이었고,
밤이면 물소리 바람 소리가 사철 가을이었다.
여기서 보는 바위는 인공으로 다스리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암석이었다.
기골과 풍치가 사뭇 대륙적이요,
검푸르고 마른 이끼가 드문드문 앉은 거창한 것이어서
묘심사의 인공적이요,
온아적정(溫雅寂靜,아담하고 고요함)하던 돌과는 그 맛이 판이하였다.
일진의 바람을 몰고 홀연한 자세로 부동하던 그 바위의 모습은
나의 심안(心眼)의 발상을 다르게 하였다.
나는 여기서 1년 동안 차보다도 술을 마셨고,
나물만 먹는 창자에 애주무량(愛酒無量)해서 뼈만 남은 몸이 되어
내가 스스로 바위가 되어가고 있었다.
나의 선도 상심낙사(賞心樂事)하는 화경청적(和敬淸寂)의 다선(茶禪)에서
방우이목우(放牛而牧牛)하는 불기분방(不羈奔放)8)의
주선(酒禪)이 되고 말았다.
 
오대산은 동서남북 중대(中臺)에 절이 있다.
서대(西臺)절은 초옥수간(草屋數間)의 잡풀이 우거진 마당에,
누우면 부처도 없는 곳에 향을 사르고 정(定)에 들어 있는 선승은
사람이 온 줄도 몰랐다.
그를 구태여 깨울 것이 없었다.\
구름을 바라보고 새소리를 들으면,
1,700측 공안(公案)이 아랑곳없이 나도 그대로 현묘지경(玄妙之境)9)에
들어가는 것이었다.
오대산 상원사에는 방한암(方漢岩) 종정이 선연(禪筵)10)을 열고 있었다.
이따금 마음이 내키면 나는 그 말석에 참(參)을 하였다.
 
구름 노을 깊은 골에
샘물이 흐르노니
우짖는 산새 소리
길이 다시 아득해라.
일 없는 늙은 중은
바위 아래 잠든 것을
청천백일(靑天白日)에
꽃잎이 흩날린다
 
좌선을 쉴 때면 역시 바위를 내다보며 시를 생각하는 것이 좋겠다.
바위를 내다보는 것은 내 마음을 들여다보는 것이었다.
 
우리 선방에서도 차를 마신다.
오가피차나 맥차(筴茶),
그것도 아무런 형식도 없이 아주 자유롭고 흐뭇하게 둘러앉아
농담을 나누면서 마시는 품이 까다롭지 않아서 별취(別趣)였다.
창을 열면 산이 그대로 정원이요,
소동파의 "溪聲便是廣長舌 山色豈非淸淨身"11)이라는 시구 그대로
화엄12)의 동음을 이용하며 농담 선문을 나에게 던지는 노승이 있었다.
나는 웃으면서 "예, 보리찹니다" 라고 대답했다.
역시 '麥(보리)' 와 '菩提(俗音 보리)' 의 동음을 이용한 것ㅡ
이쯤 되면 농담도 선미(禪味)가 있어서 파안대소였다.
 
"風塵熱惱蒸三界 法雨淸凉灑五臺"13)의 연구(聯句)에
끼이기도 하던 월정사의 생활도 미일 전쟁이 터지고
싱가포르가 함락되고 하면서부터는
숨어서 살 수 있는 암혈은 아니고 말았다.
과음의 나머지 나는 구멍 뚫린 괴석과 같은 추상의 육체를 이끌고
오대산을 떠나고 말았다.
뿐만 아니라 월정사는 6·25 동란에 회신(灰燼)14)했다 한다.
내가 거처하던 동향 일실ㅡ방우산장도 물론 오유(烏有)15)로
돌아갔던 것이다.
그러나 나의 젊은 꿈이 깃든 숲 속의 그 바위는
아직도 남아 있을 것이다.
인세(人世)의 풍상에 아랑곳없는 것이 아니라,
그 풍상을 사람으로 더불어 같이 열력(閱歷)16)하면서
변하지 않는 데에 바위의 엄위(嚴威)와 정다움이 함께 있는 것은 아닐까?
 
돌에도 피가 돈다.
나는 그것을 토함산 석굴암에서 분명히 보았다.
양공(良工)의 솜씨로 다듬어진 그 우람한 석상의 위용은
살아 있는 법열의 모습 바로 그것이었다.
인공이 아니라 숨결과 핏줄이 통하는 신라의 이상적 인간의 전형이었다.
그러나 이 신라인의 꿈 속에 살아 있던 밝고 고요하고 위엄있고
너그러운 모습에 숨결과 핏줄이 통하게 한 것은,
이 불상을 조성한 희대의 예술가의 드높은 호흡과 경주된 심혈이었다.
그의 마음 위에 빛이 되어 떠오른 이상인의 모습을 모델로 삼아
거대한 화강석괴를 붙안고 밤낮을 헤아림 없어 쪼아대고 깎아낸 끝에
탄생된 이 불상은
벌써 인도인의 사상도 모습도 아닌 신라의 꿈과 솜씨였다.
 
석굴암과 중앙에 진좌(鎭座)한 석가상은 내가 발견한 두 번째의 돌이다.
선사의 돌에서 나는 동양적 예지를 발견하였다.
그것은 지혜의 돌이었다.
그러나 석굴암의 돌은 나에게 한국적 정감의 계시를 주었다.
그것은 예술의 돌이었다.
선사의 돌은 자연 그대로의 돌이었으나,
석굴암의 돌은 인공이 자연을 정련하여 깎고 다듬어서
오히려 자연을 연장 확대한 돌이었다.
나는 거기서 예술미와 자연미의 혼융(混融)의 극치를 보았고,
인공으로 정련된 자연, 자연에 환원된 인공이 아니면
위대한 예술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배웠다.
예술은 기술을 기초로 한다.
바탕에 있어서는 예술이나 기술이나 다 아트(art)이다.
그러나 기술이 예술로 승화하려면 자연을 얻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인공을 디디고서 인공을 뛰어 넘어야 한다.
몸에 밴 기술을 망각하고 일거수 일투족이 무비법(無非法)17)이 될 때
예도가 성립되고, 조화와 신공(神功)이 된다는 말이다.
나는 그 앞에서 찬탄과 황홀이 아니라 감읍18)하였다.
그것이 불상이었기 때문이 아니었다.
한국 예술의 한 고전이었기 때문이다.
나는 몇 번이고
그 자비로운 입 모습과 수련히 내민 젖가슴을 우러러 보았고,
풍만한 볼기살과 넓적다리께를 얼마나 어루만졌는지 모른다.
 
내가 석굴암을 처음 가던 날은 양력 4월 8일,
이미 복사꽃이 피고 버들이 푸른 철에 봄눈이 흩뿌리는 희한한 날씨였다.
눈 내리는 도화불국(桃花佛國)ㅡ그 길을 걸어가며,
나는 '碧藏雲外寺 紅露雪邊春'19)의 즉흥 1구를 얻었다.
이 무렵은
내가 오대산에서 나와서 조선어학회의 『큰사전』 편찬을 돕고
있을 때여서, 뿌리 뽑히려는 민족 문화를 붙들고 늘어진
선배들을 모시고 있을 때라 슬프고 외로울 뿐 아니라,
그저 가슴속에서 불길이 치솟고 있을 때였다.
이 때에 나는 신앙인의 성지 순례와도 같은 심경으로
경주를 찾았던 것이다.
우리 안에 살아 있는 신라는 서구의 희랍 바로 그것이었다.
그리하여,
나는 피가 돌고 있는 석상에서 영원한 신라의 꿈과 힘을 보고 돌아왔다.
 
돌에는 맹렬한 의욕, 사나운 의지가 있다.
나는 그것을 피난 때 대구에서 보았다.
왕모래 사토(沙土)길 언덕에 서 있는 집채보다 큰 바위였다.
그 옆에는 삐쩍 마른 소나무가 하나ㅡ송충이가 솔잎을 다 갉아먹어서
하늘을 가리울 한 점의 그늘도 지니지 못한 이 소나무는
용의 비늘을 지닌 채로 이미 상당히 늙어 있었다.
또 그 옆에는 이 바위보다도 작은 판잣집이 하나 있을 뿐이었다.
이 살풍경한 언덕길을 가끔 나는 석양배(夕陽盃)20)에 취하여
찾아오곤 하였다.
그 무렵은 부산에서 백골단 땃벌떼가 나돌고
경찰이 국회를 포위하여 발췌 개헌안을 강제 통과시키던
소위 정치 파동이 있던 임진년 여름이다.
드물게 보는 가뭄에 균열된 논이랑에서 농부가 앙천자실(仰天自失)21)한
사진이 신문에 실릴 무렵이었다.
그저 목이 타서 자꾸 막걸리를 마셨지만,
술이란 원래 물이긴 해도 불기운이라서 가슴은 더욱 답답하기만 하였다.
막걸리집에 앉아 기우문을 쓴 것도 무슨 풍류만이 아니었다.
이 무렵에 나는 이 사나운 의지의 돌을 발견하였던 것이다.
이 세 번째 돌은 혁명의 돌이었다.
그 바위에는 큰 나방〔蛾〕이 한 마리 붙어 있었다.
나는 그것이 자꾸만 열리지 않는 돌문 앞에 매달려
울고 있는 것으로 느껴졌다.
주먹으로 꽝꽝 두드려 보면, 그 바위는 무슨 북처럼 울리는 것도 같았다.
이 석문을 열고 들어가면 맷방석만한 해바라기 꽃송이가 우거지고
시원한 바다가 열려지는 딴 세상이 있을 것도 같았다.
 
나는 이 바위  앞에서 바위의 내력을 상상해 본다.
'태초에 꿈틀거리던 지심(地心)의 불길에서
맹렬한 폭음과 함께 퉁겨져 나온 이 바위는 비록 겉은 식고 굳었지만,
그 속은 아직도 사나운 의욕이 꿈틀대고 있을 것이다' 라고ㅡ.
그보다도 처음 놓여진 그 자리 그대로 앉아
풍우상설(風雨霜雪)에 낡아 가는 그 자체가 그지없이 높아 보였다.
바위도 놓여진 자리에 따라 사상이 한결같지 않다.
이 각박한 불모의 미가 또한 나에게 인상적이었다.
 
성북동은 어느 방향으로나 5분만 가면 바위와 숲이 있어서 좋다.
요즘 낙목한천(落木寒天)22)의 암석미(岩石美)를
맘껏 완상할 수 있는 나의 산보로는
번화의 가태(假態)를 벗고 미지의 진면목을 드러낸
풍성한 상념의 길이다.
나는 이 길에서 지나간 세월을 살피며,
돌의 미학, 바위의 사상사에 침잠한다.
내가 성북동 사람이 된 지 스물 세 해,
그것도 같은 자리 같은 집에서고 보니,
나도 암석의 생리를 닮은 모양이다.
전석불생태(轉石不生苔)라고
구르는 돌에 이끼가 앉지 않는다는 것이 암석미(岩石美)의 제1장이다.
​ 
 
1) 수석(瘦石) : 오랜 세월 동안 비바람과 물에 씻겨
                        뼈(石骨)만 앙칼지고 주름이 많고 구멍까지 뚫린 돌.
2) 소쇄(瀟灑) : 맑고 시원스러워 세속의 때가 묻지 않은 느낌.
3) 공안(公案) : 선종(禪宗)에서 도를 터득하게 하기 위하여
                        생각하게 하는 문제
4) 임제종(臨濟宗) : 선종의 한 유파.
                        우리 나라에서는 고려 때부터 시작됨.
5) 종장(宗匠) : 경학(經學)에 밝고 글을 잘 짓는 사람,
                       또는 어떤 분야에 뚜렷한 두각을 나타낸 사람.
6) 벌목정정(伐木丁丁) : 도끼로 나무를 벨 때 나는 소리처럼
                        쩌렁쩌렁한 통쾌한 소리.
7) 파한(破閑) : 심심풀이
8) 불기분방(不羈奔放) : 구속받지 않고 자유스러움.
9) 현묘지경(玄妙之境) : 도나 예(藝)의 심오하고 미묘한 경지.
10) 선연(禪筵) : 선(禪)의 도를 강의하는 자리나 모임.
11) 계성편시광장설(溪聲便是廣長舌) 산색기비청정신(山色豈非淸淨身) :
             개울물 소리는 바로 거침없는 웅변인데
            산색은 어찌 청정한 몸이 아니겠는가.
12) 화엄(華嚴) : 만행(萬行)과 만덕(萬德)을 닦아서
                 덕과(德果)를 장엄하게 하는 일을 가리키는 불교 용어.
13) 풍진열뇌증삼계(風塵熱惱蒸三界) 법우청량쇄오대(法雨淸凉灑五臺) :
         속세의 들끓는 고뇌는 삼계를 삶아 버릴 듯한데,
         부처님 자비의 청량함은 오대를 씻어 내리네.
14) 회신(灰燼) : 송두리째 전체가 다 타버림.
15) 오유(烏有) : 사물이 아무것도 없이 됨.
16) 열력(閱歷) : 겪어 지내옴. 경력.
17) 부비법(無非法) : 법도에 맞지 않음이 없음.
18) 감읍(感泣) : 감격하여 움.
19) 벽장운외사(碧藏雲外寺) 홍로설변춘(紅露雪邊春) :
           푸른 버들잎은 구름 멀리 절집에 아른거리고
           붉은 복사꽃은 눈발 날리는 봄철에 피었구려.
20) 석양배(夕陽盃) : 석양에 마시는 한 잔 술.
21) 앙천자실(仰天自失) : 하늘을 우러러 자신을 잊고 멍하게 있음.
22) 낙목한천(落木寒天) : 나뭇잎이 다 진 때의 추운 날씨.
​ 
 조지훈
시인. 본명 동탁(東卓). 경북 영양 출생. (1920 ~ 1968)
혜화전문 졸업. 고려대 교수. 민족문화연구소장.
시집에는 3인 공동 시집인 『청록집(靑鹿集)』과 『풀잎 단장』,
『역사 앞에서』가 있으며, 수필집으로는 『창에 기대어』가 있다.
 
​ 

'한국단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떡 - 김유정 -  (0) 2025.04.22
도도한 생활 - 김애란 -  (2) 2025.04.11
노다지 - 김유정 -  (0) 2025.04.06
목넘이 마을의 개 - 황순원 -  (0) 2025.03.28
고장난 문 - 이범선 -  (2) 2025.03.23